• 아론정 약효 및 부작용, 주의사항 바로 알기

    2023. 10. 10.

    by. 약방 주인장

    아론정-약효-부작용-주의사항

    아론정은 가벼운 불면증의 경우 수면을 유도해 주는 수면유도제로 많이 사용되지만 배뇨곤란이나 인지기능저하 등의 항콜린 부작용 위험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는데요 아론정 약효 및 부작용,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론정 약효

     

    아론정의 주요 성분은 독시라민숙신산염이며 미결정셀루로오스와 산화티탄,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등의 첨가제가 들어갔고 의사 처방전 없이도 구매가 가능한 일반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아론정 형상
    사진출처 약학정보원

    주성분인 독시라민은 1세대 항히스타민제라고 할 수 있으며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해서 뇌혈관의 장벽을 통과하여 뇌에서도 작용하게 되는데 뇌의 각성 효과도 동시에 작용하는 약물입니다.

     

    독시라민은 바로 수면에 들게 하는 수면제와는 달리 더 편안하게 수면할 수 있도록 수면 최적화 환경을 만들어주는 작용을 하고 수면제인 졸피뎀과는 완전히 다른 작용을 하고 가벼운 불면증 환자가 복용하면 좋은 수면유도제입니다.

     

    아론정은 독시라민 단일제로 수면제보다 부작용이 훨씬 덜하고 비교적 안전한 약물이며 가벼운 수면장애에 대한 효능이 있고 불면증 치료에 보조적인 기능을 하고 진정효과가 있습니다.

     

     

    ※ 내 주변에 가장 가까운 병원 및 약국 위치를 찾아보세요 ☞

     

     

    아론정 부작용

     

    아론정은 1일 1회 25mg을 수면 30분 전에 경구투여하고 연령이나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합니다.

     

    아론정 복용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폐기종, 만성 기관지염 천식 등의 호흡장애 환자나 녹내장 환자, 전립선 비대 환자 등은 복용해서는 안되며 유당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갈락토오스 불내성, Lapp 유당 분해효소 결핍증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 등의 유전적 문제가 있는 환자는 복용하면 안 됩니다.

     

    아론정과 병용 시 상호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약물로 이미 브라민계 항우울약, 항파킨슨제, 디소피라미드 등이 있습니다.

     

    아론정은 항히스타민제로 항히스타킨의 대표적인 부작용인 졸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과도한 진정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고소작업이나 자동차 운전 등 위험이 수반되는 기계조작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아론정 부작용 및 세부 약물 정보는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론정 주의사항

     

    아론정은 아른 약물과 함께 복용하거나 2주 이상 복용하지 않아야 하고 음주 후 또는 음주 시에 이 약을 투여하면 안 됩니다.

     

    아론정 복용 후 때때로 항콜린 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낮에 졸음이 나타날 경우 용량을 감소해야 합니다.

     

    2주 정도 투여해도 증상 개선이 없는 경우나 시야가 희미해지는 등 눈에 이상반응이 나타나면 전문가 상담을 진행해야 합니다.

     

    매일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섬유소가 풍부한 음식을 먹는 것이 좋고 입안이 건조하면 얼음조각을 물고 있거나 무가당 껌, 사탕 등을 먹으면 구갈 해소에 도움이 됩니다.

     

    ※ 기타 아론정 복용 시 세부 주의사항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하시고 안전하게 복용하세요^^

     

    약학정보원 아론정 주의사항 알아보기

     

     

    《함께 보면 좋은 글》

     

    아졸정 약효 및 부작용, 주의사항 바로 알기

    아졸정은 스트레스나 시차, 출산 후 육아과정 등의 이유로 인한 단기 불면증 개선에 효능이 있으며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적어 많이 처방이 되는 불면증의 보조치료 및 진정에 도움이 되는데요

    hows.tistory.com

     

     

    루나팜정 약효 및 부작용, 주의사항 바로 알기

    불면증은 단순히 정신력으로 극복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뇌의 신경전달물질 이상으로 생기는 질환이고 원인을 찾고 이겨내는 것이 가장 좋지만 쉽지 않을 텐데요 약의 도움을 받는 것도 한 방

    how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