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톨론점안액은 각막염이나 결막염, 공막염, 홍채염, 안검염, 홍채 모양체염 등 눈의 안쪽 또는 바깥쪽 염증성 질환과 수술 후 염증 치료제로 스테로이드제로 의사 처방전이 있어야 구매가 가능한 전문의약품인데요 톨론점안액 약효 및 부작용,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톨론점안액 약효
톨론점안액 주성분은 플루오로메토론이며 무수인산수소나트륨과 벤잘코늄염화물, 벤잘코늄 염화물액의 첨가제가 들어 갔으며 의사 처방전이 있어야 구매가 가능한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주성분인 플루오메톨론은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스테로이드 성분이며 주로 눈의 염증성 질환을 억제하고 치료하는데 사용하며 점안액 또는 안연고 형태로 사용합니다.
염증은 병원체의 침입 때문에 조직이 손상이 생겼을 때 체내에서 일어나는 반응으로 다른 면역세포들을 불러서 염증반응을 발생시키는데요 주요 증상으로는 혈류량이 증가하거나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 등으로 열이나면서 붉게 부어 오르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톨론점안액은 외안부 및 전안부의 염증성 질환인 안건염, 결막염, 각막염, 공막염, 상공막염, 홍채염, 홍채모양체염, 포도막염, 수술 후 염증 등에 효능이 있습니다.
※ 내 주변에서 가장 가까운 병원 및 약국을 찾아보세요 ☞
톨론점안액 부작용
톨론점안액은 표재성 단순포진 각막염, 우두, 수두를 포함한 바이러스성 각결막 질환환자, 진균성 안질환 환자, 눈의 미코박테리아 감염 환자, 만성 안검염 환자, 이 약에 과민증 병력이 있는 환자는 투여하면 안됩니다.
주요 부작용으로 눈과 창상(칼 등 날이 예리한 연장에 의해 다친 깊은 상처), 하수체부신피질계, 과민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눈에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
시신경 손상, 시력저하 및 시야결손을 동반하는 녹내장과 안압상승, 각막포진, 각막진균증, 녹농균감염증, 각막궤양, 장기 사용에 의해 드물게 후낭하 백낸장, 숙주면역반응의 억제로 이차 안간염의 위험 증가
② 창상 치유의 지연
백내장 수술 후 창상 치유의 지연을 일으킬 수 있으며 수포 형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
③ 하수제부신피질계 기능
장기 사용에 의해 하수체부신피질계 기능의 억제를 일으킬 수 있음.
④ 과민증
과민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
병용 투여 시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약물로 CYP3A4 저해제(리토나비르 또는 코비시스타트 포함)는 전신 노출이 증가되어 전신적 이상 반응 발생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보다 클 때만 투여해야 합니다.
※ 톨론점안액 부작용 및 세부 약물정보 관련 내용을 확인하세요^^
※ 톨론점안액 구매 시 본인 부담금을 건강보험심사 평가원에서 계산해 보세요^^
톨론점안액 주의사항
임부 및 수유부, 소아에 대한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투여해서는 안됩니다.
고령자는 일반적으로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투여시 주의해야 하며 점안용으로만 사용하고 점안시 용기의 임구가 직접 눈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 약 투여 전에 수두 또는 홍역의 병력과 예방접종 유무를 확인하고 수두 또는 홍역의 병력이 없는 환자에 대해서는 수두 또는 홍역에의감염을 최대한 방지하여 충분한 배려와 관찰을 해야 합니다.
의사 진단 없이 충혈된 눈에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투여는 실명을 초래할 수 있고 단순 포진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투여시 빈번한 세극동 검사 실시 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약을 10일 이상 장기 투여 시 소아나 비협조적인 환자라 하더라도 정기적인 안압검사를 해야 하며 염증이나 통증이 48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악화되면 투여를 중지하고 의사 상담을 진행해야 합니다.
오염 방지를 위해 가능한 공동으로 사용하지 말고 개봉 후에는 1회만 즉시 사용하고 남은 액과 용기는 바로 버려야 합니다.
다른 점안제와 병용 투여 시 최소 5분 이상 간격을 두고 투여 하고 치료 중에는 가능한 콘텍트 렌즈의 착용을 삼가야 합니다.
톨론점안액 사용시 세부 주의사항을 확인하고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의약품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리비드안연고 약효 및 부작용, 주의사항 바로 알기 (0) 2023.09.19 트레스탄캡슐 약효 및 부작용, 주의사항 바로 알기 (0) 2023.09.19 안젤릭정 약효 및 부작용, 주의사항 바로 알기 (0) 2023.09.19 실콘정 약효 및 부작용, 주의사항 바로 알기 (0) 2023.09.19 듀케이겔 약효 및 부작용, 주의사항 바로 알기 (0) 2023.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