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전쟁사 <한국전쟁> 알아보기

    2023. 4. 30.

    by. 약방 주인장

    썸네일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 북한군이 38도선을 선전포고 없이 기습 남침하여 발발한 한국전쟁은 1953년 7월 정전협정이 체결되기까지 약 3년에 걸쳐 수많은 사상자를 발생시켰습니다. 민족상잔의 비극 한국전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한국전쟁 발생 배경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일본 식민지로부터 해방의 기쁨도 잠시 한반도내 일어난 분단과 이에 따른 남북한 간 이념적 갈등이 심화되었고 이러한 이념적 대립이 전쟁일 발생한 원인이 되었으며 무엇보다 김일성의 남한 적화통일 야욕이 크게 작용하여 러시아의 도움을 통해 한국전쟁이 발발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남한 정부의 불안정성과 이를 이용해서 북한은 남한 내 선전선동을 강화했으며 1948년 5.10일 총선에서 자유당이 승리하면서 남한 정부가 출범했지만, 남한만 실시한 반쪽짜리 선거로 민중의 불만이 커졌고 정치적 동요가 점점 심화되어 갔으며 북한은 김일성을 중심으로 이념과 체재를 홍보하고 강화하면서 남한보다 모든 면에서 안정화된 북한은 남한을 해방시키기 위해서는 힘이 강한 북한이 무력에 의해 통일을 해서 남한 국민들을 해방시켜야겠다는 생각 하면서 전쟁발발의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국제정세 또한 전쟁 발생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미국과 소련의 이념적 대립이 커져갔으며 공산주의와 민주주의가 세력을 확장해 가면서 충돌이 지속적으로 발생했고 이러한 진영의 연장선에서 한국전쟁은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상황 속에서 소련의 지원을 받은 북한은 남한을 침공했고 미국과 유엔군이 참전하면서 전면전으로 발전하였습니다. 

     

    2. 한국전쟁 작전경과

    한국전쟁을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에 북한군이 남한을 침공하면서 시작된 전쟁으로 북한군은 서울을 점령하였고, 남한군은 저항 한 번 제대로 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밀리게 됩니다.

     

    서울을 함락당한 남한은 유엔군의 도움으로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을 감행했으며 작전 성공으로 북한군은 서울을 중심으로 남과 북이 차단되어 전방에서 전투중인 부대는 후방부대의 전투근무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되고 포위된 형태가 되자 공격템포가 급격하게 떨어졌으며 수많은 북한군은  남한의 포로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유엔군의 공격기세를 꺾는 사건이 발생하는데 그것은 1950년 10월 25일 중공군이 북한군을 지원하면서 남한군은 중공군과 북한군의 반격에 후퇴하게 되었습니다.

     

    미군 중심의 유엔군과 북한군은 38도선 일대를 중심으로 치열한 전투가 지속되었으며 고지전을 통해 사상자만 증가하고 힘의 균형은 좀처럼 깨지지 않았습니다. 결국 1953년 7월 27일 양국은 38도선을 기준으로 정전협정을 체결하게 되었습니다. 

     

    3. 한국전쟁 결과

    한국전쟁은 유엔군과 공산군의 대결이었으며 유엔군은 한국군을 포함하여 17개국이 전투에 참가했으며 노르웨이 등 12개국이 한국에 의료를 지원했습니다.

     

    반면에 공산군은 북한을 주축으로 소련과 공산군이 참전했고 몽골이 물자를 지원했습니다. 한국전쟁 결과는 승자도 없고 패자만 남은 전쟁이었습니다.

     

    남한은 55만명이 넘는 군인과 민간인이 사망했고 3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부상을 당했습니다. 북한도 81만 명이 넘는 군인과 민간인이 사망했고 중공도 100만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미군도 3만 6천여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유엔군과 공산군 모두 엄청난 인명피해를 입었으며 특히 남한과 북한의 민간인 피해는 역대 어떤 전쟁보다 컸던 전쟁이었습니다.  

     

    4. 한국전쟁의 교훈

    한국전쟁은 인류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전쟁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으며 많은 교훈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첫번째는 전쟁은 어떤 상황에서도 대안이 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어떤 이유로 인해 전쟁이 발생하더라도 이는 인류에게 상당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입히고, 국가와 개인의 생활을 크게 흔들어 놓습니다.

     

    두 번째는 평화와 협력을 통해 국제 사회의 안정과 번영을 추구해야 합니다. 한반도 문제 역시 군사적인 해법으로 해결하기보다는 대화와 협력을 통한 평화적인 방안으로 접근하는 것이 더 나은 방안입니다.

     

    민간인과 군인을 포함한 모든 인간의 생명과 안전이 최우선 과제여야 합니다. 전쟁에서는 민간인과 군인 모두 희생되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군사적인 규칙과 인도적인 대우를 중요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전쟁은 국가와 개인 모두에게 큰 비용을 치르게 합니다.

     

    따라서 전쟁을 방지하고 예방하기 위해 국가와 개인 모두가 노력해야 하고 협력해야 합니다. 전쟁에서는 이념적 갈등이 큰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화와 협력을 통해 상호 이해를 높이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입장을 존중하고 타협할 줄 알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