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전쟁사 <6일 전쟁> 알아보기

    2023. 5. 2.

    by. 약방 주인장

    썸네일

    1948년 이스라엘의 독립전쟁을 시작으로 중동전쟁은 시작됐으며 2차 중동전쟁은 수에즈 운하를 국유화 조치한 이집트가 이스라엘 선박의 통행을 금지하면서 발생했고 3차 중동전쟁은 이스라엘과 주변국 간 국경을 둘러싼 분쟁으로 6일 전쟁이라고도 하는데 6일 전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세계전쟁사 <인도-파키스탄 전쟁> 알아보기

    인도-파키스탄 전쟁은 1,2차 전쟁부터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카길 전쟁까지를 통칭하고 2019년 인도-파키스탄 분쟁까지 이어오고 있어 아직까지 인도와 파키스탄 국경지역에서 마찰 요소는 상존

    hows.tistory.com

     

     

    세계 전쟁사 <수에즈 전쟁> 알아보기

    이집트의 나세르 대통령이 수에즈 운하 국유화를 선언하면서 영국과 프랑스가 이스라엘과 연합군을 형성하여 이집트를 공격했으나 미국과 소련의 압력으로 퇴각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집트의

    hows.tistory.com

     

     

    1.   6일 전쟁 발생원인

    6일 전쟁은 제3차 중동전쟁이라고도 하며 이스라엘의 이집트에 대한 선제공격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중동에서 3차 전쟁이 발생할 징후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지역을 근거지로 1948년 독립을 한 후 시리아는 팔레스타인이 시리아의 일부라고 인식하고 있어 양국 간 국경을 둘러싼 분쟁은 지속적으로 발생했습니다.

     

    또한 갈릴리 호수 이용을 둘러싸고 이스라엘의 대규모 수로 공사를 시리아에서 방해하면서 양국의 강등은 고조되었고  이스라엘은 시리아 지역의 골란고원이 갈릴리 호수의 원류라는 것을 인식하고 골란고원 확보에 대한 욕망을 버릴 수가 없었습니다.

     

    이렇게 이스라엘을 중심으로 긴장이 고조되던 중 러시아는 이집트에 이스라엘이 시리아를 침략할 것이라는 왜곡된 정보를 전달했고 이에 이집트의 나세르 대통령은 이스라에를 응징하기 위해 시나이 반도에 군대를 파견했습니다.

     

    또한 이집트는 티란 해협을 봉쇄하고 이스라엘 선박의 인도양으로의 진출을 금지시키면서 이스라엘에 대한 압박수위를 높였으며 이에 반발한 이스라엘이 이집트에 대한 선제공격을 시작으로 6일간의 전쟁이 시작됐습니다. 

     

    2. 6일 전쟁 작전경과

    이스라엘 공군의 이집트에 대한 선제타격으로부터 시작했으며 이스라엘 공군은 전쟁 초기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의 공군기지 및 탱크 부대 등을 집중적으로 공격하였고 충분한 여건조성작전을 통해 아랍군대의 대응을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선제공격 후 이스라엘군은 이집트의 군사기지들을 공격했고 이어서 시나이 반도에 전개되어 있는 이집트 군대를 격퇴하면서 해당 지역을 점령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이스라엘군은 요르단에 대한 공격을 시작하여 요르단을 포위하면서 요르단 군은 심대한 손실을 입었으며, 예루살렘 동부지역을 점령하였습니다.

     

    이스라엘은 예전부터 확보하고 싶었던 골란고원 지역의 시리아 군대를 공격해서 확보하면서 6일간의 중동 전쟁은 끝이 나게 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은 6일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시나이 반도와 골란고원, 갈릴리 호수까지 원하는 것을 모두 얻는 대승을 거두게 되었으며 향후 중동지역에서의 이스라엘의 영향력이 막강해지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3. 6일 전쟁의 교훈

    6일 전쟁은 군사전략, 군사능력, 지정학 등에 관한 다양한 교훈을 남겼습니다. 먼저 선제공격의 중요성과 효과입니다. 이스라엘의 선제공격은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이스라엘군은 상대방의 주요 공군기지와 및 탱크 부대 집중적으로 공격하여 아랍군대의 강력한 저항을 사단에 차단했고 거의 대응이 불가능한 수준까지 선제공격에서 화력을 쏟아부었습니다. 

     

    두 번째는 공군력의 중요성입니다. 이스라엘 공군은 전쟁에서 큰 역할을 했습니다. 이스라엘 공군은 아랍군대의 주요 기지를 파괴하고 적의 공중전력을 제거함으로써 이스라엘 지상군의 안전을 보장했고 어렵지 않게 핵심목표를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세 번째 이스라엘이 이집트를 선제공격했을 때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까지 아랍연합국을 결성하여 이스라엘에 대응했지만 이스라엘을 이길 수 없었습니다.

     

    6일 전쟁은 중동에서의 이스라엘의 패권을 강화시키는 결과를 낳았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국경과 영토 영유권을 둘러싼 분쟁의 불씨는 제거되지 않은 채 전쟁은 끝이 나게 되었고 훗날 3차 중동전쟁에서 빼앗긴 이집트의 시나이 반도와 시리아의 골란고원 회복 위한 전쟁인 4차 중동전쟁의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