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근대사에서 가장 치욕적인 전쟁으로 미국이 징병제도 폐지의 계기가 된 베트남 전쟁은 20년간 초강대국 소련과 미국을 등에 업고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사이에 벌어진 전쟁입니다. 현대사에서 가장 많은 피해를 남긴 <베트남 전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1. 베트남 전쟁 발생 원인
베트남 전쟁의 시작이 언제부터인지 정의 내리기는 어렵지만 통상적으로 1955년 남베트남 지역의 공산주의에 대한 반대로부터 시작이 되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전쟁이 발생한 원인은 역사적, 정치적,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무엇보다 가장 큰 원인이 된 것은 남북 베트남 간 이념적 갈등과 냉전 시대에 미국과 소련의 대립으로 인해 전쟁은 확산되었다고 평가하기도 합니다.
1954년 베트남은 프랑스의 식민지에서 벗어나면서 남북으로 나누어졌습니다. 북베트남은 공산주의를 수용하고 남베트남은 자유민주주의를 수용하게 되는데 두 체제 간 이념적 갈등으로 인해 남북 베트남 간의 결정적 전쟁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베트남 전쟁은 냉전시기에서 미국과 소련, 중국 등의 대립으로 전쟁을 부추기는 작용을 했고 베트남 전쟁을 더욱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세 번째 미국은 1947년 트루먼 독트린을 발표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한 대외정책을 시행하는데 이러한 대외정책이 베트남 전쟁의 참전 결정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2. 베트남 전쟁 주요 작전경과
베트남 전쟁은 1955년 11월 1일부터 1975년 4월 30일까지 거의 20년간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일대에서 벌어진 전쟁입니다.
민주주의 국가를 만들고자 했던 베트남 공화국과 공산주의 이념의 베트남 민주 공화국 간 갈등으로 시작된 전쟁은 미국을 포함한 서방권 군대의 참가와 소련을 비롯한 공산권 국가의 참전으로 수많은 민간인 및 군인들의 피해가 있었습니다.
특히 남베트남과 북베트남, 베트콩 군인들만 110만 명 이상 전사했으며 170만 명 이사의 부상자를 냈고 미군도 6만여 명 한국군 5천여 명의 전사자가 발생한 비극적인 전쟁이었습니다.
20년의 전쟁 기간 중 주요 전투로 꼽는다면 1968년 1월에 벌어진 베트남 전쟁의 운명을 결정지은 전환점이 된 구정공세입니다.
베트남도 중국의 영향으로 구정(설날)은 매우 중요한 명절로 휴전에 들어가는 것이 관례였고 미군도 이 기간에는 연휴를 즐겼는데 베트콩이 이를 알고 35개 대대를 이용하여 기습을 단행한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베트콩이 남베트남에서 사건을 벌이면 동시에 북베트남도 군대를 동원해서 지원을 하는 것이었으나 계획보다 늦어지다 보니 베트콩의 피해가 컸다는 측면에서 전술적 실패한 작전으로 평가받고 있고 정치적, 전략적으로는 북베트남이 완승을 거둔 전투로 평가받았습니다.
전략적으로 성공한 것으로 평가받는 이유는 베트콩이 미국대사관을 공격하고 미 해병대의 경비 병력을 사살하는 등 전력의 건재함을 과시한 것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미국 내 반전여론이 형성되는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1972년 12월 미군은 북베트남의 교통체계를 파괴할 목적으로 1만 톤 이상의 폭탄을 하노이에 투하했으나 하노이에 폭격을 피할 수 있는 40만 개의 1인용 방공호와 수십만 개의 터널에 대피하여 북베트남의 피해는 크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북베트남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3. 베트남 전쟁의 교훈
베트남 전쟁에서 얻은 교훈은 매우 다양합니다. 그중 몇 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는 전통적인 전쟁관에 대한 반성이었습니다.
베트남 전쟁은 미국이 전통적인 대규모 전쟁관에서 벗어나고, 비정형화된 전쟁을 실시했다는 점에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로 인해 미국은 전통적인 방식의 전쟁에 대한 반성이 있었으며 새로운 형태의 전쟁에 대한 대비와 대처능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두 번째는 베트남 전쟁에서는 민족주의 운동이 미국의 대응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베트남의 민족주의 운동은 국가의 독립과 자주성을 지키는데 중점을 둔 것이라면, 미국은 국가의 이익보다는 자신의 이익과 이념을 지키는 것을 우선시했습니다.
이로 인해 미국은 베트남의 민족주의 운동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듣지 않았기 때문에 미국의 입장이 전면적으로 수용되지 못했습니다.
세 번째는 국가 총력전의 중요성입니다. 북베트남과 베트콩에서 활약한 사람들이 남녀노소를 망라하고 참전했고 미군을 포함한 베트남 공화국군은 피아를 구분할 수 없는 혼란 속에서 전통적인 군사적으로는 승리할 수 없는 양상이 되었던 것입니다.
네 번째는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이 인권과 군사전략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지 못했는데 미군은 군사적인 승리를 위해 인권을 무시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점은 미국의 대중들과 세계 사회의 비판을 받는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4. 결론
베트남전쟁 초기 남베트남은 북베트남에 비해 4배 이상의 막강한 수준의 군사력을 갖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미군의 지원하에 탱크와 화포 등 월등한 군사력을 갖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북베트남과 베트콩에 패배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특히 당시 세계 최강의 군대인 미군이 54만 명 이상 투입됐음에도 불구하고 남베트남 내 군부와 정치지도자들의 부정부패와 전투의지가 결여되었으며, 미군의 대리전 양상이 되면서 결정적 작전 없이 장기화되면서 피해만 계속해서 발생함에 따라 결과적으로는 1975년 4월 30일 남베트남 수도인 사이공을 북베트남군과 베트콩군에게 함락되면서 종식되었는데 이로 인해 베트남은 공산화되는 결과를 낳았고 미군을 중심으로 한 연합군의 실패로 끝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쟁이라는 것은 쌍방 모두에게 막대한 피해를 안겼기 때문에 전쟁 그 자체가 무승부라고 평가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세계 전쟁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전쟁사 <아프가니스탄 전쟁> 알아보기 (0) 2023.05.09 세계전쟁사 <인도-파키스탄 전쟁> 알아보기 (0) 2023.05.06 세계전쟁사 <6일 전쟁> 알아보기 (0) 2023.05.02 세계전쟁사 <인천상륙작전> 알아보기 (0) 2023.05.01 세계전쟁사 <한국전쟁> 알아보기 (0) 2023.04.30